-
빚더미에 깔린 한국, 가계부채로 본 한국의 경제경제연구실 2022. 1. 9. 19:08반응형
최근 경제 관련 뉴스를 보면,
굉장히 헷갈립니다...
'수출 최고 기록 경신'
vs
'가계부채 급증'
지금 우리나라 경제는 호황기일까요? 불황기일까요?
돈 벌어오는 대기업(+),
망해가는 소상공인(-).
+와 -가 만나 상쇄된 걸까요?
제 생각은 현재 한국 경제는 '불황기'입니다.
왜냐하면,
가계부채 급증 때문이죠.
OECD 국가들과 비교하여 한국의 가계부채가 얼마큼 심각한 지 보시죠.
위의 그래프는
OECD국가들의 순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입니다.
200%를 넘어선 상태인데,
순가처분소득의 4배가량의 빚을 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가처분소득이란?
개인이 소비나 저축으로 자유롭게 처리할 수 있는 소득)
OECD 가맹국 전체가 20년도 데이터가 아닌 점,
즉, 코로나 사태가 터지기 이전의 데이터인 나라도 있음을 감안하면,
대부분의 나라의 가계부채가 상승했을 것이라고 예상되긴 합니다.
하지만,
우리나라보다 인구 고령화가 심각한
일본에서도 가계부채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데,
약 2배의 가계부채를 안고 있는 우리나라에서는
가계부채 급증에 대한 대책 혹은 우려의 목소리가 적지 않나 생각합니다.
최근에는 가계부채 급증과 부동산 가격 조절을 위해
대출을 제한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고는 있지만,
필요한 사람 마저도 대출을 받지 못하는 상황에 놓이게 됐다는 비판의 목소리도 많습니다.
앞으로의 정부의 대책이 어떠한 방향으로 갈 지,
가계부채 급증을 막을 수 있을지
관심을 갖고 지켜봐야 할 사항이 아닌 가 싶습니다.
이상입니다.
감사합니다! :)
반응형'경제연구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고령층 퇴사 후 1년 내 정규직 재취업 불가? 9% 수준의 재취업 비율 (0) 2022.01.31 인구 감소 국면의 시작? 한국이 없어지기 시작. (0) 2022.01.01 [유학생의 일상] 독도는 한국땅, 다케시마 따위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 2020 도쿄 올림픽 홈페이지 (4) 2021.06.01 1인당 국내총생산으로 본 OECD 내에서 우리나라의 위치는? : 통계의 함정 (14) 2021.05.22 한국의 통계청(KOSIS)의 위대함 : 이런 것까지 통계를 내? (6) 2021.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