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구 감소 국면의 시작? 한국이 없어지기 시작.경제연구실 2022. 1. 1. 23:42반응형
출산율이 줄어들면서,
인구가 감소할 것이라는 이야기
많이 들으셨죠?
전망이 아니라,
'현실'이 됐습니다.
먼저 출생아수와 합계출산율에 대해 알아볼까요?
15년도 이후부터는 출생아수와 합계출산율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이 출산율이 줄어들고 있다는 것은
즉,
총인구의 감소로도 이어지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겠죠?
총인구수에 대해 알아보죠.
데이터 상으로 19년을 기점으로
총인구수도 감소 국면에 접어들었습니다.
인구가 감소함에 따른 가장 큰 문제점은 무엇일까요?
한국이 없어지게 될지도 모른다는 것?
그렇게 되기까지는 꽤나 오랜 시간이 걸리겠죠..
우린 좀 더 경제적인 면에서 생각해보죠.
'생산가능인구 감소'
즉, 일할 사람이 없어진다는 의미입니다.
또한 평균수명이 늘어남에 따라
노인부양비 또한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게 되겠죠.
'생산가능인구 감소'에 대한 대책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겠지만,
결국 궁극적이고 근본적인 해결책은!
'출산율의 증가'입니다.
출산율 증가를 위한 앞으로의 어떠한 정책과 대안이 마련될지
지켜봐야겠네요!
이상입니다.
반응형'경제연구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고령층 퇴사 후 1년 내 정규직 재취업 불가? 9% 수준의 재취업 비율 (0) 2022.01.31 빚더미에 깔린 한국, 가계부채로 본 한국의 경제 (0) 2022.01.09 [유학생의 일상] 독도는 한국땅, 다케시마 따위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 2020 도쿄 올림픽 홈페이지 (4) 2021.06.01 1인당 국내총생산으로 본 OECD 내에서 우리나라의 위치는? : 통계의 함정 (14) 2021.05.22 한국의 통계청(KOSIS)의 위대함 : 이런 것까지 통계를 내? (6) 2021.05.19